분류 전체보기
-
[AWS] 개념정리TT 2025. 4. 27. 16:33
[2024]1. EKS2. GP2/GP33. Direct Connect Gateway4. Access Policy5. EKS/IP부족/SecondaryIP6. 비용절감/RI/SP7. RDS/암호화8. EKS/Auto Scale-in9. S3/전용선 ***10. CodeDeploy11. Merge/Branch12. Account/Subnet13. EKS/자격증명14. IAM Policy15. DNS/Redirect ***16. IP부족/EKS17. Istio/ServiceEntry ***18. LivenessProbe19. 테라폼 ***20. Branch/Job21. 컨테이너/이미지취약점22. 과도한트래픽/Auto-Scailing ***23. Inspection VPC ***24. IP ..
-
MSA Outer Architecture 구성요소TT 2024. 6. 6. 14:24
Inner Architecture가 내부 서비스 구축에 관한 설계였다면, Outer Architecture는 서비스의 개발, 배포, 실행할 환경과 관리 기능에 대한 설계이다.총 6개의 영역으로 분류가 가능하다.● External Gateway - 서버 최앞단에 위치하여 클라이언트의 모든 API 호출을 받는다. - 내부 구조를 보이지 않고 사용자 인증과 인가, 권한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. - 인증된 사용자의 명령을 서비스에 전달한다.● Service Mesh - API Gateway와 역할은 유사하나, 내부 서비스간의 통신을 담당한다. - 라우팅, 트래픽 관리, 보안 등의 문제를 처리하는 통신 인프라이다.● Container Management - 서비스가 다양한 환경에 배포 및 실행 할 수 있..
-
미들웨어 기초TT 2024. 6. 5. 23:20
미들웨어 영역 다양한 유형의 솔루션3-tier 구조에서 정적 콘텐츠(이미지 등)은 Web 서버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클라우드 전환 시 WAS 세션 Cluster는 외부 저장소 이용하는 방향으로 변경이 필요하다ESB(Enterprise Service Bus)는 기업 내의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상호 간에 연결하기 위한 기술이다TP-Monitor 미들웨어는 트랜잭션 처리/관리에 특화된 제품이다미들웨어 솔루션정적 컨텐츠(이미지 등)는 web 서버에서 처리하거나 cdn에서 처리하는게 바람직node.js는 크롬 v8엔진을 기반으로 javascript를 서버 상에서 수행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한다jvm 기반의 was 미들웨어는 통상 multi-thread 기반이므로 multi-core 수량이 많아야 유리하..
-
DISK 파티션 구조_GPT/MBRTT 2024. 6. 1. 18:20
GPT (GUID Partition Table)와 MBR (Master Boot Record)은 하드 드라이브의 파티션 구조를 정의하는 두 가지 주요 방식입니다. 이들은 각각 파티션 구조, 부팅 모드, 그리고 디스크 관리에서 중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. 아래에서 GPT와 MBR의 파티션 구조, 부팅 모드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MBR (Master Boot Record)파티션 구조:기본 파티션: MBR은 최대 4개의 기본(primary) 파티션을 지원합니다.확장 파티션: 4개의 기본 파티션 중 하나를 확장(extended) 파티션으로 설정하여 그 안에 여러 개의 논리(logical) 파티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.파티션 테이블: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(512바이트)에 위치하며, 파티션의 시작 ..
-
MSA_API Gateway_Rage LimitTT 2024. 6. 1. 17:58
API Gateway에서 Rate Limiting은 클라이언트가 일정 시간 내에 API에 요청할 수 있는 최대 요청 수를 제한하는 메커니즘입니다. 이는 서비스 오버로드를 방지하고,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며, 악의적인 사용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다양한 Rate Limiting 기법이 존재하며, 그 중 대표적인 네 가지를 설명하겠습니다: Leaky Bucket, Fixed Window, Sliding Log, Sliding Window.1. Leaky Bucket개념:Leaky Bucket 알고리즘은 비유적으로 물이 새는 양동이를 기반으로 합니다. 요청이 양동이에 물을 채우는 것과 같고, 일정한 속도로 물이 새어 나갑니다. 양동이가 가득 차면 초과 요청은 버려집니다.작동 방식:요청이 들어..
-
Linux I/O 스케줄러 종류/특징TT 2024. 6. 1. 16:56
Linux의 I/O 스케줄러는 디스크 I/O 작업을 관리하고 조절하여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합니다. 다양한 I/O 스케줄러가 있으며, 각각의 특징과 적용되는 상황이 다릅니다. 아래는 주요한 Linux I/O 스케줄러의 종류와 각 특징에 대한 설명입니다.1. CFQ (Completely Fair Queuing)특징:일괄 작업 및 대화형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.디스크 I/O 대기열을 여러 개의 작은 큐로 분할하여 처리합니다.I/O 우선 순위를 기준으로 대기열을 관리하며, 우선 순위가 높은 작업에 더 많은 리소스를 할당합니다.적용:일반적인 데스크탑 및 서버 환경에서 사용됩니다.다양한 유형의 I/O 작업을 공정하게 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합합니다.2. Deadline특징:디스크..
-
MSA 구성 요소TT 2024. 5. 31. 21:42
MSA(Microservices Architecture)에서 텔레메트리는 전체 시스템의 건강 상태와 성능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이를 위해 다양한 구성 요소가 사용됩니다. 주요 구성 요소: 로그 수집(Logging): 역할: 각 마이크로서비스에서 생성된 로그를 수집하고 중앙 집중식으로 저장합니다. 이를 통해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, 문제를 식별하며, 디버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 도구: Elasticsearch, Fluentd, Logstash (ELK 스택), Splunk 등 메트릭 수집(Metrics Collection): 역할: 시스템 및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하는 메트릭을 수집합니다. CPU 사용률, 메모리 사용량, 응답 시간 등의 지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. 도구: P..
-
[k8s docs]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?Kubernetes/Kubernetes docs 2023. 5. 2. 17:43
Overview - k8s는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고, 확장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 - k8s는 크고, 빠르게 성장하는 생태계를 가지고 있음 - k8s는 어디서나 쉽게 사용 가능 ※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: ※ 이식성, 확장성: Going back in time 전통적인 배포 시대: 물리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방식.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으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도 성능을 저하시키는 단점. 서로 다른 물리서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에는 너무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하여 많은 비용이 듦. 가상화된 배포 시대: 단일 물리서버에서 여러대의 vm을 구동하는 방식.(Hypervisor 기술을 통해 가상의 완전한 하나의 머신으로 동작) 가상화는 vm간에 애플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