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/생활코딩

[WEB2 JavaScript] 25.함수, 26. 함수 : 매개변수와 인자, 27. 리턴 | 초코더

cloud_nice 2019. 11. 15. 17:43

이번시간에는 함수와 매개변수, 인자, 리턴에 대해 공부해볼게요.

 

우선 함수를 정의하고 쓰는 법부터 알아볼게요.

함수는 아래의 코드와 같이 써줍니다. 저번 게시글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왜 저렇게 쓰는지 이해도 중요하지만 우선 쓰는방법에 익숙해 지도록 연습해보는게 매우 중요한 것 같아요.

function two(){
	document.write(1+1);
}

- 함수의 형태

function(함수를 쓸것이다~정의) two(함수의 이름) ( )(매개변수가 들어갈 곳){

           document.write(1+1);(함수의 내용)

}

 

 

 

그럼 매개변수와 인자가 무엇인지 알아볼게요.

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2가 나오는 sum함수입니다.

function sum(){
	document.write(1+1);
}

그런데 1과 1만 더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를 써줄 때마다 그때그때 다른 숫자도 더해줄 수 있으면 편리할 것 입니다.

바로 그때 사용하는 것이 매개변수와 인자입니다.

 

 

아래와 같이 변수 num1과 num2가 매개변수이고, sum(1,100)의 1과 100이 바로 인자입니다.

function sum(num1,num2){
	document.write(num1+num2+'<br>');
}
sum(1,100);
sum(10,100);

결과는

101

110

이 출력됩니다.

101과 110의 출력결과

 

 

그럼 이제 리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return은 함수에서 작성한 내용에 대한 결과값을 돌려받게 해줍니다.

아까의 코드로 return값을 작성해볼게요.

function sum(num1,num2){
	return num1+num2;
}

 

이렇게 작성해주시면 우리는 sum(1,1)을 입력하면 2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변수에 저장도 가능합니다.

var sumNum = sum(1,1);

 

다음시간에는 함수의 활용에 대해 배워볼게요~