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 상식/엔지니어

[시스템 엔지니어 면접] 기본 리눅스 명령어

cloud_nice 2021. 9. 20. 23:40

* uname 명령어

시스템과 커널의 정보를 확인 가능. -a 옵션을 통해 모든 정보 확인 가능.

Uname을 사용하면 시스템과 커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.

 

 

* ifconfig 명령어

  • eth0, eth1: 랜카드라고 불리는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
  • lo: 루프 백 인터페이스로 자기자신과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가상 장치. IP가 127.0.0.1임. IP주소는 서버에 하나씩이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되기 때문에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마다 다른 IP주소를 가지고 있음.
  • HWaddr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주소(MAC Address)
  • inteaddr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주소
  • Bcast: 브로드캐스트 주소
  • Mask: 넷마스크
  • MTU: 네트워크 최대 전송 단위(Maxium Transfer Unit)
  • RX packets: 받은 패킷 정보
  • TX packets: 보낸 패킷 정보
  • collision: 충돌된 패킷 수
  • Interrupt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사용하는 인터럽트 번호
  • ifconfig은 private ip만 확인 가능. 공인 아이피는 Curl을 통해 확인 가능
    # curl ifconfig.me

 

 

* top 명령어

윈도우의 작업관리자와 비슷한 명령어. 프로세스 작업 명령어로, 시스템 프로세스들의 CPU/Memory 점유율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음. 현재 몇 개의 프로세스가 있는지, CPU의 자세한 사용률은 어떻게 되는지, Memory와 Swap은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 가능.

- CPU

  • us: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용률(user)
  • sy: 시스템이 사용중인 사용률(system)
  • ni: 프로세스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사용되는 사용률(사용자 공간에서 사용됨)
  • id: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여유률(idle)
  • wa: 입출력을 기다리는 프로세스 사용률(wait)
  • hi: 하드웨어 인터럽트 사용률(hardware interrupt)
  • si: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사용률(software intterupt)
  • st: 가상화 환경에서 손실률

- PROCESS

  • PID: 프로세스 ID
  • USER: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 ID
  • PR: 프로세스 우선순위
  • S: 프로세스 상태
  • %CPU: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 사용률
  • %MEM: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사용률
  • COMMAND: 실행된 명령어

 

 

* free 명령어

메모리 모니터링 명령어

  • MEM: 실제 메모리
  • Swap: 가상 메모리
  • Buffers: 일부 프로세스에 의해 발생한 임시 메모리
  • Cached: 기존에 실행된 프로그램들이 사용했던 메모리로 실행 중이거나 새로 시작될 프로그램들이 필요할 때 빠르게 재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

 

* vmstat 명령어

시스템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. 시스템 작업, 하드웨어 및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. 메모리, 페이징, 블록장치의 I/O, CPU상태 등을 볼 수 있음.

 

 

* netstat 명령어

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. 현재 시스템에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, 라우팅 테이블, 인터페이스 상태 등을 볼 수 있음.

 

 

* df 명령어

현재 디스크의 전체 용량 및 남은 용량 확인 가능.

df -h: 용량을 읽기 쉽게 단위를 계산하여 출력